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작성자 정보
- 코인온 작성
- 작성일
본문
![btn_textview.gif](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rss/btn_textview.gif)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국내 연구실의 모범이 되는 ‘건강한 연구실’ 10개를 선정해 포상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20년부터 연구실 문화, 연구관리, 연구성과가 모두 우수한 연구실을 선정·지원해 ‘건강한’ 국내 연구실의 우수사례를 공유 및 확산하고 있다.
올해는 접수된 55개 연구실 중에서 서면 및 발표평가를 거쳐 건강한 연구실 10개를 선정,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인증 현판을 수여하고 포상금 1000만원을 지급한다.
![최종 선정된 10개 건강한 연구실(학교 가나다 순, 붙임)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attaches/2022.12/12/02_00.jpg)
올해 선정한 10개 연구실은 공통적으로 소통이 중시되는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구성원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연구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고려대의 ‘데이터사이언스&비즈니스 애널리틱스 연구실’은 신입생 선발에 재학생들도 참여하고 있으며, 재학생과 졸업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술스터디를 통해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있다.
‘건강한 연구실’은 수평적인 연구문화와 더불어 연구관리 및 경력관리도 철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서울시립대의 ‘세포신호전달연구실’은 학생들의 연구노트 작성을 꼼꼼히 관리하고 있으며, 졸업 이후에도 연구노트를 보관해 연구데이터를 축적·공유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물환경정보학 연구실’은 구성원에게 매년 1회 이상 국제학술대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계명대의 ‘인공지능 컴퓨터진단 연구실’은 10년 동안의 선배들의 진로 데이터를 축적해 공유하고 있으며, 1인 1지적재산권 확보를 독려해 졸업 전 기술사업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우수한 연구실 문화 및 관리 방식을 갖춘 연구실은 연구성과도 우수한데, 대부분이 국내외 주요 학술지 논문발표와 특허 등록 및 기술이전 등 성과를 지속 창출하고 있다.
아울러 연구실 졸업생들의 90% 이상이 관련 분야 취업에 성공해 인력양성의 역할도 잘 수행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우수한 연구실 문화가 연구현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건강한 연구실 사례집을 발간하고, 건강한 연구실 포럼 개최 등을 통해 건강한 연구실 문화 조성에 대한 논의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연구개발정책과(044-202-4519)
[자료제공 :
![icon_logo.gif](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rss/icon_logo.gif)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