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 "세종학당 확대·한글상품 개발 지원"…한글날 경축사
작성자 정보
- 코인온 작성
- 작성일
본문

김민석 국무총리는 9일 "한국어와 한글은 K-문화의 원천으로, 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와 함께 한국의 문화를 배우고 있어 한글은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면서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이며, 세계의 학자들은 한글을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의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jpg)
김 총리는 경축사에서 "한글이 가진 위대함은 문자로서의 우수성에 그치지 않고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라며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든다'라고 밝힌 훈민정음 머리글에는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의 마음이 잘 담겨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한글에 담긴 인류애를 높이 평가해 유네스코는 전 세계 문맹 퇴치 공로자를 선발해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고 있다"며 "우리는 민족의 혼이 담긴 한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발자취도 함께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주시경 선생은 한국어 연구와 한글 맞춤법의 기틀을 세웠고 조선어학회 회원들은 목숨을 걸고 우리 말과 글을 지켜냈다"고 강조하면서 "이러한 노력으로 한글은 민족의 정신을 지탱하는 버팀목이 되었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오늘날 한국어와 한글은 케이(K)-문화의 원천으로, 케이팝의 노랫말로 전 세계 팬들과 연결되고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감동을 전하는 데에는 우리 말과 글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큰 역할을 했다"면서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따라 말하고, 한국어를 배워 우리 작품들을 즐기려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은 이제 낯설지가 않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또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지원하겠다"고 말하고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번 APEC이 과거의 모든 APEC을 뛰어넘는 '초격차 K-APEC'이 되도록 막바지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