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기술 사업화 지원받을 대학 24곳 선정한다
작성자 정보
- 코인온 작성
- 작성일
본문
![btn_textview.gif](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rss/btn_textview.gif)
정부가 국가·지역산업을 견인하기 위해 대학의 우수성과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올해 168억 원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기술거점형·지역거점형으로 총 24개 신규 참여대학 선정을 추진한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같은 내용의 ‘2023년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사업(이하 브릿지) 3.0 기본계획’을 발표, 24개 신규 참여대학 선정을 공고한다고 24일 밝혔다.
![교육부.](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attaches/2023.04/24/02.jpg)
2015년 도입된 브릿지 사업은 대학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자산 등 우수성과를 발굴해 최종 수요처인 기업이 원하는 기술 수준까지 고도화하고 기술이전 또는 기술창업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온 사업이다.
브릿지 사업은 그동안 대학의 연구 성과물 중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을 탐색해 후속 연구개발, 시장성 평가 등을 거쳐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대학의 연구 성과물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에 따라 사업 도입 7년 만에 전체 대학의 기술이전 수입료가 2배 이상 증가했다. 또 2021년 기준 전체 대학의 기술이전 수입료의 63%(520억 원)를 브릿지플러스 참여대학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릿지플러스(2018~2022년) 사업에 참여한 24개 대학교의 기술이전 수입료는 사업시작 연도에 370억 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사업종료 연도에는 836억 원으로 126%가 증가했으며 1억 원 이상의 기술이전 수입료를 받은 중대형 기술이전 건수도 77건에서 215건으로 늘었다.
특히 브릿지플러스 사업 참여 이전과 비교했을 때 기술이전 수입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상위 3개 대학은 한양대, 세종대, 숭실대 순이었으며 지난해 기준 기술이전 수입료 규모가 가장 큰 상위 3개 대학은 한양대, 세종대, 경희대 순이다.
교육부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우수기술을 발굴·사업화하고 대학의 기업가정신 및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브릿지 3.0 사업을 수행할 대학을 신규 선정하기로 했다.
브릿지 3.0 유형 중 기술거점형은 일반대 16개교에 각각 6억 6000만 원씩 106억 원을 지원해 국가전략 기술사업화 등을 통해 중대형 기술이전을 활성화한다.
지역거점형은 일반대 8개교에 각각 7억 7000만 원씩 62억 원을 지원해 지역 내 타대학,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와 연계하여 지역특화 산업을 육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들은 자율적으로 대학의 역량·특성을 진단해 대학에 적합한 1개의 사업유형을 선택해 신청해야 하며 사업유형별 중복 신청은 할 수 없다.
신청 대상은 대학 내에서 기술이전·사업화 업무를 수행하는 전담 조직인 산학협력단이다. 선정된 대학은 국고지원금의 30% 이상을 현금으로 대응 투자해야 한다.
브릿지 3.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교육부 누리집(https://www.moe.go.kr), 한국연구재단 누리집(https://www.nrf.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4일 사업 공고가 시작되며 다음 달 26일까지 접수가 이뤄진다.
사업에 대한 이해 및 신청을 돕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은 브릿지 3.0 사업 설명회를 25일 진행하기로 했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우수한 연구 성과 및 기반을 갖춘 대학이 향후 국가전략기술과 지역 특화산업의 육성을 견인하는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기술사업화를 통한 수익 구조의 다변화로 지역 및 대학이 위기를 극복할 자립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 교육부 지역인재정책관 산학협력취창업지원과(044-203-6264)
[자료제공 :
![icon_logo.gif](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rss/icon_logo.gif)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