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료계에 인력수급추계위 위원 추천 재요청
작성자 정보
- 코인온 작성
- 작성일
본문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10일 “여야의정협의체,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의료계도 참여해 대화를 시작하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차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인력수급 추계위원회의 위원 추천은 오는 18일까지 진행하며, 의료계에서도 위원을 추천해 주기를 다시 한번 요청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또한 “정부는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해 의료현장을 세심하게 모니터링하고 지원이 필요한 사항은 적극 조치하는 등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의료개혁 완수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의사 집단행동 대응 상황과 비상진료체계 운영 현황 등이 논의됐다.
정부는 힘든 여건 속에서도 비상진료체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응급실의 경증환자는 평시 8000여 명에서 6000여 명 수준으로 줄었으며, 중증·응급환자는 1300여 명으로 평시와 큰 차이 없는 수준이다.
발병 후 응급실 도착시간도 2시간 미만이 33.3%, 1시간 미만이 18.2%로 해마다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내원 후 전문의 최초 진료 시간은 평시보다 감소했다.
지난 2분기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는 일부 지적이 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한 수준으로, 학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반면에 지난 3~7월 기준 응급실 전체 사망환자 수는 1만 8690명, 응급실 사망 중증환자 수는 1만 754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감소했다.
또한 중환자실 사망자 수는 지난 2~5월 기준 1만 3677명으로 지난해 1만 3961명 대비 소폭 감소했다.
다만 같은 기간 중환자실 사망자 비율은 11.3%에서 11.7%로 소폭 늘었으나 중환자실 사망과 관련한 사항은 환자의 질환, 연령 등 요인이 매우 다양해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정부는 의료진의 헌신과 국민의 의료 이용 협조 덕분으로 비상진료체계가 유지되고 있으며, 지자체와 협력해 가용 자원을 최대한 동원하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문의 :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팀(044-202-1605)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